끵뀐꿩긘의 여러가지

[부스트코스]웹 프로그래밍 22. JSP(1) 본문

부스트코스 - 웹/2. DB 연결 웹 앱

[부스트코스]웹 프로그래밍 22. JSP(1)

끵뀐꿩긘 2020. 3. 20. 12:26

JSP(Java Server Pages)란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도구
JSP를 통해 정적인 HTML과 동적으로 생성된 contents(HTTP 요청 파라미터)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contents에 맞게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JSP,Servlet,Javascript 차이{

 

Servlet과 JSP의 개념
기능의 차이는 없고 역할의 차이만 있다. (하는 일은 동일)

Servlet이란
웹 기반의 요청에 대한 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Server Side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웹 개발을 위해 만든 표준


JSP란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
Servlet를 보완하고 기술을 확장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
Servlet의 모든 기능 + 추가적인 기능

JSP가 Servlet에서 발전된 방식이라기보단 어디에 특화되었는지에 따라 나눈것이라 볼 수 있다.

JSP - presentation 담당

Servlet - data processing 담당

 

JSP와 JS의 차이

-JSP: 서버의 자원을 활용한다.

-JS: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활용한다.

정확한 설명은 아니지만 JSP는 서버 언어,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언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JSP의 실행순서

  1.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JSP에 대한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2. 브라우저가 요청한 JSP가 최초로 요청했을 경우만 JSP로 작성된 코드가 서블릿으로 코드로 변환한다. (java 파일 생성)
  3. 서블릿 코드를 컴파일해서 실행가능한 bytecode로 변환한다. (class 파일 생성)
  4. 서블릿 클래스를 로딩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5. 서블릿이 실행되어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 정보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servlet으로 변환되어 실행되기때문에 JSP의 라이프 싸이클은 servlet의 라이프 싸이클과 같다.

 

Servlet life cycle-> https://kkwong-guin.tistory.com/16

 

[부스트코스]웹 프로그래밍 13. Servlet(2)

Servlet 작성 방법 1. Servlet 3.0 spec 이상에서 사용하는 방법 web.xml 파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자바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사용합니다. 앞에서 실습했던 first web에서 사용합니다. 2. Servlet 3.0 spec..

kkwong-guin.tistory.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