끵뀐꿩긘의 여러가지

주피터 노트북 단축키/명령어/디버깅 본문

Naver boostcamp -ai tech/week 01

주피터 노트북 단축키/명령어/디버깅

끵뀐꿩긘 2022. 9. 24. 21:45

주피터 노트북 단축키

 

1) 셸 선택 모드(Command Mode):

a: 위에 새로운 셀 추가

b: 아래에 새로운 셀 추가

c: 셀 복사하기

v :셀 붙여넣기

x: 셀 잘라내기

dd: 셀 삭제하기

o: 실행결과 열고 닫기

shift + 위/아래 방향키: 위/아래의 셀 선택하기

shift + m: 선택한 셀 병합하기(vs code에서는 실행 안됨)

m: 셀 마크다운으로 바꾸기

y: 셀 코드로 바꾸기

l: 셀의 코드라인  나타내기

shift + l: 모든 셀의 코드라인 나타내기

shift + enter: 현재 셀 실행하고 다음 셀 선택(다음 셀이 없으면 생성)

ctrl + enter: 선택한 셀 모두 실행

alt + enter: 현재 셀 실행하고 아래 새로운 셀 생성

h: 단축키 도움말 표시(vs code에서는 실행 안됨)

 

2) 코드 입력 모드

shift + ctrl + - : 커서위치에서 셀 둘로 나누기

shift + tab: 툴팁

ctrl + backspace: 단어 단위로 지우기

ctrl + d: 한줄 지우기 (vs 에서 안됨)

 

명령 프롬프트 이용하기(shell command)

주피터 노트북에서 '!'로 설정된 쉘 환경의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 ipconfig -all

>>>
Windows IP Configuration

   Host Name . . . . . . . . . . . . : DESKTOP-5FP01KJ
   Primary Dns Suffix  . . . . . . . : 
   Node Type . . . . . . . . . . . . : Hybrid
   IP Routing Enabled. . . . . . . . : No
   WINS Proxy Enabled. . . . . . . . : No

Wireless LAN adapter Wi-Fi:

   Media State . . . . . . . . . . . : Media disconnected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Description . . . . . . . . . . . : Realtek 8822BE Wireless LAN 802.11ac PCI-E NIC
   Physical Address. . . . . . . . . : 80-2B-F9-E8-59-7F
   DHCP Enabled. . . . . . . . . . . : Yes
   Autoconfiguration Enabled . . . . : Yes

 

매직 명령어(Magic Command)

주피터 노트북에서 '%'로 매직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한 라인의 매직 커맨드를 동작시킨다

%%: 셀 단위의 매직 커맨드를 동작 시킨다

 

 

%pwd: 현재 노트북 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현재 위치 출력)

%ls: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 출력

%cd: 디렉토리 이동

%mk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신규 생성

%rmdir 디렉토리명: 해당 디렉토리 삭제

%load 파일명: 해당 파일 열어 파일 내용을 코드 셀에 출력

%%writefile 파일명: 해당 코드 셀 전체를 파일로 저장

%run 파일명: 파일을 실행한다

%time, %%time: 한 줄/셀 전체에 대한 실행 시간을 출력

%timeit, %%timeit -n(반복횟수) -r(실행횟수): 여러번 반복실행하여 코드 실행 시간의  평균 표준편차 출력

%autosave: 노트북 자동 저장 시간 설정(Default: 120)

%pip: pip 명령어 사용

%page 객체: 객체 에쁘게 출력

%who: 정의된 변수 출력

 

디버깅(ipdb)

%debug가 잘 동작하지 않는다

from IPython.core.debugger import set_trace
for i in range(10):
    set_trace()
    print("hi")
c:\users\fbrjs\appdata\local\temp\ipykernel_18556\1009147436.py(4)<cell line: 2>()

ipdb> n
hi
> c:\users\fbrjs\appdata\local\temp\ipykernel_18556\1009147436.py(2)<cell line: 2>()

ipdb> n
> c:\users\fbrjs\appdata\local\temp\ipykernel_18556\1009147436.py(3)<cell line: 2>()

ipdb> n
> c:\users\fbrjs\appdata\local\temp\ipykernel_18556\1009147436.py(4)<cell line: 2>()

ipdb> n
hi

set_trace()로 break_point를 만들어준다

n: 다음줄 실행

s: 다음 스텝 실행

c: breakpoint 나올때까지 실행

l: 현재 line 보기

q: 종료

a: 현재 함수에 할당된 argument 출력

p 변수명: 변수값 출력

'Naver boostcamp -ai tech > week 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통계  (1) 2022.09.23
경사하강법  (1) 2022.09.22
선형대수학  (1) 2022.09.22
pandas  (0) 2022.09.21
Numpy  (1) 2022.09.2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