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스트코스
- Prim's Algorithm
- 그리디
- 브라우저
- 크루스칼 알고리즘
- jsp
- 백준
- Kruskal's Algorithm
- 웹서버
- SERVLET
- 벡엔드
- DP
- 정렬 알고리즘
- request
-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 순열 알고리즘
- 정렬
- 소수
- greedy
- dbms
- 웹 프로그래밍
- 웹프로그래밍
- BJ
- programmers
- 프로그래머스
- mysql
- 해시
- mst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프림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웹 프로그래밍 (22)
끵뀐꿩긘의 여러가지

HTML의 여러 태그들의 기능을 알아보았듯이 CSS의 여러 속성들을 알아보겠습니다. color 속성 font 속성 text-align 속성 border 속성 cursor 속성 visibility 속성 border-radius 속성 color 속성 color 속성은 단어 뜻대로 색상, 정확히는 글자의 색상을 의미합니다. red, blue등 이미 정의된 색 #000, #FFFFFF 등의 16진수 색상 코드 rgb(255, 255, 255) 등의 rgb 색상 rgba(200, 100, 150, 0.5) 등의 알파(투명도)가 적용된 rgba 색상 color 속성은 위 목록등의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inherit으로 부모의 색상을 가져옵니다. #text1 { color: red; } #text2 { ..

CSS CSS는 구체적으로 어떤 스타일로 요소가 표시 되는지를 정하는 규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의 웹은 HTML 하나로 문서의 뼈대도 만들고 꾸미기도 함께 하였지만, 공통적인 디자인을 갖는 문서가 여럿 존재 할 경우 하나의 디자인이 변경되면 모든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했습니다. CS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 웹페이지의 내용과 스타일(표현)을 분리해주어, 역할 분담도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법 CSS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문법은 동일하며, 어디에 기술하느냐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기술하는 방법은 아래의 3가지가 있습니다. HTML 태그의 style 속성을 이용 (inline) 태그를 통해 HTML 문서 내부에 기술 ( 태그는 주로 태그 내부에 사용합니다)(intern..

저번 시간에 HTML을 처음 접하면서 제가 좋아하는 심슨에 관해서 사이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직은 많이 조잡하지만 시작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ID 고유한 속성으로 한 HTML 문서에 하나만 사용 가능합니다. 고유한 ID 값이 있으면 하나하나에 특별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검색에도 용이합니다. 선택자에 #(샾) 사용 Class 하나의 HTML문서 안에 중복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하나의 태그에 여러 개의 다른 class 이름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열할 수가 있습니다. 홈페이지 전체적인 스타일을 일관성 있게 지정하기 위해서는 class의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선택자에 .(점) 사용 이렇게 구분할 수 있지만, 많은 회사마다 개발단계에서 어떠한 약속(convention)을 만들어서 자신들만의 규..

웹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HTML입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NAVER, GOOGLE 등 모든 사이트 문서는 HTML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오늘 드디어 HTML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HTML과 함께 작은 웹 페이지를 만들어 봅시다. HTML이란?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고, 우리가 보는 웹페이지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 브라우저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은 elem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나타내고 실행하기 위해 각 컨텐츠의 여러 부분들을 감싸고 마크업 합니다. tags 는 웹 상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 하는 하이퍼링크 내용들을 생성하거나, 단어를 강조..

작년 갑자기 서버에 대한 관심이 생겨서 서버에 최적화 되어있다고 평가받는 리눅스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깊이 있게 다루지는 못했지만 웹서버를 만들고 웹을 못 만들어서 조잡한 웹페이지를 보면서 우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ㅎㅎ 이번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에 힘입어서 근사한 웹과 웹서버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마구 듭니다. 웹 서버란? 웹 서버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보통 말하지만,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웹 서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클라이언트(Client)가 요청하는 HTML 문서나 각종 리소스(Resource)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웹 브라우저나 웹 크롤러가 요청하는 리소스는 컴퓨터에 저장된 정적(static)인 데이터이거나 동적인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웹브라..

10년전에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썼었는데, 요즘은 많이들 크롬을 씁니다. 저도 아이패드를 사고 여러가지 앱도 깔면서 사파리랑 오페라도 써봤는데 결국은 크롬을 주로 쓰고 있습니다! 웹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HTML, CSS, Java-Script 코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웹 브라우저가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입니다. 자원은 보통 HTML 문서지만 PDF나 이미지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URI를 입력할 수 있는 주소 표시 줄 이전 버튼과 다음 버튼 북마크 새로 고침 버튼과 ..